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지하와 지상의 경계에서 피어나는 인간의 민낯-기생충

by 메이인러브 2025. 4. 12.

 

 

기생충-봉준호감독2019

 

“이 영화는 한 편의 지옥도다.”
<기생충>을 처음 본 순간부터 마지막 장면까지, 나는 눈을 뗄 수 없었다.
봉준호 감독의 세계는 언제나 그렇듯 현실을 교묘하게 비틀고, 깊은 밑바닥까지 파고든다.
그리고 <기생충>은 그 모든 것의 정점에 있었다.

시대적 배경:

대한민국, 서울.
2010년대 후반.
급속한 경제 성장 속에 심화된 빈부 격차.
‘헬조선’, ‘수저 계급론’이라는 말이 일상이 된 이 시대는
더 이상 누구도 평등하다고 느끼지 않는다.

겉으로는 평범한 가족 이야기 같지만, 이 영화는 철저히 계급에 대한 영화다.
그리고 그 계급은 단순히 돈이 아니라, 공간냄새, 기회로 나뉜다.

줄거리:

반지하에 사는 기택(송강호) 가족은 하루하루를 겨우 버티며 살아간다.
아들 기우(최우식)는 친구의 소개로 부잣집 딸의 영어 과외를 맡게 되면서
서서히 그 가족 전체가 고급 주택 ‘박 사장네 집’에 스며든다.
딸 기정(박소담)은 미술 치료사로, 아내 충숙(장혜진)은 가정부로,
아버지 기택은 운전기사로 하나둘 들어간다.

이 과정은 우스꽝스럽기도 하고, 놀라우리만치 치밀하다.
‘기생’이라는 단어가 이토록 정확하게 맞아떨어질 수 있을까.
그러나 영화는 단순한 사기극이나 희극에서 끝나지 않는다.

지하실의 비밀이 밝혀지는 순간,
영화는 장르적 변곡점을 맞이하며
한없이 어두운 심연으로 떨어진다.
그곳엔 또 다른 ‘하층민’이 존재하고,
그들 역시 ‘기생’ 중이었다.

기택은 점점 박 사장의 말과 행동에서
자신이 ‘냄새’ 나는 존재임을 자각한다.
냄새는 곧 차이, 그리고 차별이다.
그리고 그것은 격렬한 분노로 치닫는다.

생일 파티 날 벌어진 충격적인 사건은,
기생이었던 자들의 절망이자
지상의 사람들을 향한 반란이었다.

명대사:

“아버지, 당신은 계획이 다 있잖아요.”
기우의 말처럼, 기택은 항상 계획을 세우지만
현실은 그 어떤 계획도 무용지물로 만든다.
세상은 그렇게 만만치 않다.

“가장 완벽한 계획은 무계획이야.”
기택의 체념은 곧 이 시대를 살아가는
수많은 사람들의 말 못 할 진심일지도 모른다.

“여보, 사랑해요.”
박 사장의 마지막 대사는 아이러니하다.
혼돈 속에서도 상류층은 여전히 사랑을 말한다.
그 이면에서 누군가는 피를 흘리고,
누군가는 지하실로 돌아간다.

감성적 리뷰:

<기생충>은 웃기지만 슬프고,
잔인하지만 정교하며,
현실적이지만 비현실적이다.
그리고 무엇보다 불편하다.

봉준호 감독은 스스로 “한 가족이 기생하는 이야기”라 말했지만
사실 그 기생은 우리 모두의 이야기다.
‘나도 저 상황이라면 저렇게 살지 않을까’라는
불편한 자문을 하게 되는 순간, 우리는 영화 속으로 빨려들어간다.

이 영화는 단순히 상류층과 하류층을 구분짓는 것이 아니라,
그 사이에 낀, 경계인들의 고통을 말한다.
기택 가족은 철저히 가난하지만 능동적이고,
박 사장 가족은 부자이지만 무감각하다.
그리고 영화는 그 간극을 냉정하고 날카롭게 찔러댄다.

결국 마지막 장면에서 기우가 쓰는 편지.
그것은 슬프도록 절실한 희망이자
도달할 수 없는 꿈이라는 사실을 우리는 안다.

그가 지하실에서 아버지를 꺼낼 수 있을까?
아니, 그 전에 그는 그 집을 살 수 있을까?

우리는 알고 있다.
그 편지는 그저, 편지일 뿐이라는 걸.